우리가 쉽게 접하는 동영상은 수많은 사진을 1초에 지정된 프레임 수만큼 보여주는 것입니다. 1920x1080 해상도의 영상을 초당 30 프레임으로 본다면 약 200만 화소의 사진을 1초에 30장씩 보여주는 것이므로 초당 약 6000만 화소 정도의 사진을 보여주는 것과 같은 데이터양을 차지하게 됩니다.
그래서 동영상은 사진과 비교할 수 없이 파일의 크기가 크게 됩니다. 이러한 파일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동영상 파일을 압축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사용하는데 이 프로그램을 코덱이라고 합니다. 영상의 데이터양을 줄이기 위해 데이터를 코드화하고 압축하는 행동을 인코딩이라고 합니다.
코덱 (Codec)
코덱은 코더 (Coder)와 디코더 (Decoder), 또는 컴프레서 (Compressor)와 디컴프레서 (Deconpressor)의 합성어입니다. 음성이나 비디오의 아날로그 데이터를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게 디지털로 바꿔주고 이 바뀐 데이터를 사용자가 알 수 있게 모니터에 본래의 모습으로 재생시켜 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이런 과정에서 동영상처럼 용량이 큰 파일을 작게 줄여주고 다시 본래대로 재생할 수 있게 해 줍니다.
인코딩과 디코딩
인코딩 (Encoding)
부호화라고도 불리며 컴퓨터를 이용하여 음성이나 비디오 등의 데이터를 생성할 때 원래 크기를 줄이기 위해 데이터를 코드화하고 압축하는 작업을 말합니다.
디코딩 (Decoding)
복호화라고 불리기도 하며 인코딩 된 정보를 역순으로 수행하여 인코딩 전으로 되돌리는 작업을 말합니다. 압축하고 코드화 된 비디오나 음성 데이터를 우리가 듣고 볼 수 있게 아날로그 신호로 돌려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코딩 (Coding)
용어가 비슷하여 헷갈릴 수가 있는데 우리가 흔히 말하는 코딩은 주어진 명령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넓은 의미로 프로그램을 만드는 프로그래밍과 같은 의미로 쓰이는 용어로 인코딩이나 디코딩과는 다른 의미의 용어입니다.
코덱을 사용하여 인코딩한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해서는 인코딩할 때 사용되었던 코덱이 있어야 디코딩을 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때때로 동영상을 실행하는데 에러가 뜨며 플레이가 안될 때가 있는데 그 이유는 인코딩 때 사용되었던 코덱이 내 컴퓨터에 설치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코덱을 찾아 설치하게 되면 동영상 실행이 가능하게 됩니다.
코덱 종류
코덱의 종류는 매우 다양합니다. 동영상 코덱은 유명한 MPEG(MP4) 코덱과 DivX, Xvid, H.264등이 있고 오디오 코덱은 MP3 코덱을 비롯하여 AC3, WMA, OGG 등의 많은 코덱이 있습니다. 또한 압축 프로그램에서 알집, 반디집, WinRAR, Winzip 등이 있습니다.
이런 코덱들은 표준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압축방법이나 압축률 등이 서로 다르고 호환이 되지 않기 때문에 필요한 코덱을 개별적으로 설치해야 합니다.
이러한 불편함을 피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코덱을 한 번에 설치해주는 것을 통합코덱이라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