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나 드라마를 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보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이러한 동영상 파일을 살펴보면 파일 이름 뒤의 확장자가 다른 경우가 많습니다. 동영상 확장자는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가 조합된 컨테이너(Container 그릇 용기)의 종류를 말합니다. 이 컨테이너가 영상의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지만 환경에 맞는 컨테이너를 선택해야 최적의 영상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AVI, MOV, MP4, MKV 등의 확장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확장자 종류
AVI
Audio Video Interleave의 약어로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1992년 11월에 윈도우즈 개발과 함께 만든 윈도우즈 표준 동영상 포맷입니다. 주로 영상제작과 녹화를 위해 사용하며 많은 종류의 Codec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많은 종류의 Codec을 담을 수는 컨테이너 포맷이기 때문에 파일의 크기도 상대적으로 커질 수 있고 오래된 포맷이어서 자체의 기능은 꽤 떨어지는 편입니다.
MOV
애플에서 만든 동영상 포맷으로 Quick Time Movie라고도 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만든 AVI와 같이 여러 종류의 Codec을 담을 수 있는 컨테이너 포맷입니다. 애플사는 마이크로소프트사보다 동영상에 대한 기술개발이 먼저 이루어져 있어 용량 대비 화질이 우수한 편입니다. IOS 계열의 기기인 아이폰이나 아이패드 등에서 녹화한 영상은 MOV로 저장됩니다.
MP4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에서 개발한 MPEG-4 기술을 기반으로 압축된 파일 및 멀티미디어 컨테이너 포맷 표준입니다. 1988년 설립하여 개발한 MPEG-1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된 포맷은 MP3(음성)를 개발하고 이후 MPEG-4 part 14 규격에서 만든 파일이 MP4입니다.
높은 압축률을 보여주는 H.264 Codec을 사용하여 비교적 적은 용량으로도 좋은 품질의 영상을 제공하며 인터넷을 통한 스트리밍을 지원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MKV
MKV (MatrosKa multimedia container for Video)의 약어로 마트로스카가 개발한 개방형 컴퓨터 파일 포맷이며 오픈 형식의 표준 컨테이너 포맷입니다. 파일 하나에 개수의 제한이 없이 비디오, 오디오, 그림, 자막 등을 담을 수 있어서 영화나 드라마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담기 위한 보편적인 포맷으로 개발되었습니다. 자막이 필요한 영상 재생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같은 파일 포맷이라도 동영상이 재생이 안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 이유는 인코딩할 때 사용한 코덱이 컴퓨터에 설치가 안되어 있어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코덱을 찾아서 설치해주면 동영상 재생이 되며 코덱 찾기 힘들 경우 통합 코덱을 사용하면 좀 더 편하게 재생이 가능합니다.
코덱과 인코딩 이해
우리가 쉽게 접하는 동영상은 수많은 사진을 1초에 지정된 프레임 수만큼 보여주는 것입니다. 1920x1080 해상도의 영상을 초당 30 프레임으로 본다면 약 200만 화소의 사진을 1초에 30장씩 보여주는
7july30.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