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이, 부피, 무게 등의 물리량을 측정하기 위한 표준단위를 정의하는 개념을 도량형 (weights and measures)라고 합니다. 서로 다른 도량형을 사용하던 나라가 교역을 하면서 불편함을 느껴 이를 해소하기 위해 도량형을 통일하게 되었습니다.
도량형의 발생
농사로 지은 곡물, 옷이나 생활용품, 사냥을 해서 잡은 동물 등을 서로 교환하면서 수량의 개념과 도량형이 생겼습니다. 서로 교환해야 할 물건의 양과 그 양이 많은 얼마큼 되는지 알아야 했기 때문입니다.
최초의 도량형은 사람 몸을 기준으로 사용했습니다. 손가락 길이, 발길이, 팔 길이, 한 줌, 두 줌 등이 도량형의 기준이었습니다. 그러다 국가가 형성되고 세금의 걷기 위한 곡식의 양이나 도로 등의 토목공사 등을 하기 위해 도량형이 발달하게 됩니다. 도량형은 각 나라와 문화마다 다르게 발전을 하게 됩니다. 대표적 도량형으로 중국에서는 척관법, 유럽과 미국에는 야드, 파운드 법이 있습니다.
도량형의 통일
각기 다른 단위를 쓰던 국가 간에 교류가 활발해지며 교역량이 늘어나면서 점점 불편해지기 시작했습니다. 서로 다른 길이와 부피, 무게를 일일이 다른 나라 단위로 계산해야 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1875년 5월 20일 17개 나라의 대표가 당시 유럽 과학의 중심지였던 파리 과학 아카데미를 주축으로 파리에 모여 미터 협약(Metre Convention)을 진행하여 채결하게 됩니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매년 5월 20일은 세계 측정의 날로 지정되었습니다.
미터라는 용어는 잰다라는 의미의 그리스어인 metron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처음 미터는 지구 북극에서 적도까지의 거리 4000만 분의 1을 단위 미터로 채택하였습니다.
1889년 1차 국제 도량형 총회에서 국제 미터원기와 킬로그램원기를 정했습니다. 미터원기는 백금 90%와 이리듐 10%의 합금으로 만들어진 단면이 X 모양의 막대이며 킬로그램원기는 백금 90%와 이리듐 10%의 합금으로 만들어진 지름과 높이가 각각 39mm인 원통입니다. 부피의 단위 리터는 1 m³ 부피의 1 / 1000로 정의됩니다.
1983년 제17차 국제도량형 총회에서 빛의 속도에 근거하여 미터의 기준을 새롭게 바꾸었습니다. "미터는 빛이 진공에서 299,792,458분의 1초 동안 진행한 경로의 길이"로 정의했습니다. 2018년 26차 국제도량형 총회에서는 플랑크 상수값을 이용해 킬로그램을 다시 정의해서 2019년 5월 20일부터 공식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길이 단위인 미터가 모든 단위의 기초 역할을 하도록 정했습니다.
이렇게 우리에게 익숙한 도량형인 길이(m), 질량(kg), 부피(l)가 국제단위계의 기본단위가 되었습니다.
댓글